Apple 개발자 페이지에서 App ID 등록 및 Push 인증서 발급까지 끝낸 이 후.


0. 개발용 인증서 등록

잘 까먹는 과정 중 하나라서..

Push 서비스를 이용하려면 개발용 인증서 새로 발급해야 한다. 와일드카드 ㄴㄴ

발급 후 다운받을 수 있는 .mobileprovision 파일을 실행 후

프로젝트 Build Settings -> Code Signing Identity 에서 해당 인증서 선택


==========


1. .cer 파일을 실행해서 키체인에 등록

2. 키체인 - 인증서 카테고리 에서 인증서 찾아서 (앱아이디로 검색)


3. 왼쪽 접힌걸 열어서 인증서와 개인키를 같이 선택, 우클릭 -> 2개 항목 보내기

ㄴ 정확한건 아니지만, sandbox 용은 개인키와 함께, production 용은 인증서만 선택해서 추출해야 작동을 하는 것 같다.

원래 잘 되던게 언제부턴가 이러던데, 정확한 원인이나 이유는 잘 모르겠음.


4. .p12 포맷으로 적당한 곳에 저장. 비밀번호는 설정안해도 된다.

5. $ openssl pkcs12 -in cert.p12 -out cert.pem -nodes

6. 위에서 비밀번호를 지정했다면 해당 비밀번호를, 아니라면 그냥 엔터

7. 완성


궁금하니 직접해보도록 하자.




동아리 등 카카오톡 단체 채팅방에 있다보면, 일명 "사진 테러", 사진이 주구장창 많이 올라올 때가 있다.


와이파이에 연결된 상태라던가.. PC 카톡을 하고 있다면 상관없지만,

현재 LTE 를 사용 중이라면? 내 데이터가 얼마 남지 않았다면?!!



사진을 왕창 올린 후 시작되는 대 탈주 시대..



이런 문제를 카카오톡도 어느정도 인지를 해서인지,

데이터 네트워크인 상태에서 고용량(3MB 이상) 사진을 다운받으려하면 바로 받지 않고 용량을 표시해주며 다시 한번 다운 받을지 선택지를 주게 된다.



Mac OS 에 있는 기본 바탕화면 중 하나.

9MB 가 넘는 용량에, 카카오톡에서는 "눌러서 보기" 라는 메뉴로 데이터 낭비를 방지한다.



하지만 이런 용량 큰 사진도 채팅방에 올라오면 미리보기로 작게 사진이 표시된다.




데이터가 아깝다고 나가는 사람들 대부분은 저 작은 사진 때문에!

채팅방에 바로 뜨는 저 사진은 나의 선택과 상관없이 무조건 표시된다.


채팅방에 사진이 우후죽순 계속 올라오고 내 데이터가 없으면 걱정될만도 하지.


자, 그럼 본론으로 돌아와서.

저 작은 사진의 용량은 어느정도 될까?


저렇게 작은 사진은 섬네일(thumbnail) 이라고 부르며, 

로딩 속도를 빠르게 하고 데이터를 절약하기 위해 본래 큰 사이즈의 사진을 작게 리사이징한 이미지들을 일컫는다.


업로드한 사진은 섬네일용으로 크기를 줄여서 카카오톡 서버에 추가로 저장되며, 위의 예시 사진의 경우엔 그 주소가

http://th-m4.talk.kakao.com/th/talkm/oWqVfrX2Dm/VIcT3QJjULUAtKhU8xxVv1/aas3nr_120x68.jpg

가 된다. (어떻게 알아내는지는 귀찮으니 패쓰, 여러가지 이유로 시간이 지나면 다운로드 안될 수 있음.)


다운 받아보면  이런 귀여운 크기와 작은 용량의 사진이 되어있음을 알 수 있다.


용량은 약 2KB


귀찮아서 많은 사진을 테스트해보진 않았지만,

섬네일 사진은 모두 대략 1~4KB 정도의 크기로 리사이징됨을 알 수 있었다.


즉, 최소 200여장 이상의 사진이 카톡방에 올라와야 1MB 를 소모한다.


물론 텍스트보다는 데이터를 많이 소모하지만, 

단순히 카톡방에 사진이 올라오는 것 만으로 데이터 폭탄을 맞을 만큼 데이터를 많이 소모하지는 않는다.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는 소리.

NFS 설치

# yum install nfs-utils


NFS 서버 설정

# vi /etc/exports

[Path]    [Client IP]([Options])


Options

ro - 읽기 전용 (기본값)

rw - 읽기/쓰기 모드

root_squash - Client의 root를 익명 사용자(nobody)로 매핑 (기본값)

no_root_squash - Client의 root를 NFS 서버의 root로 매핑

all_squash - 모든 사용자를 익명 사용자(nobody)로 매핑

sync - Client와 NFS 서버간 동기적 통신 모드 (기본값, 안전성 향상)

async - Client와 NFS 서버간 비동기 통신 모드 (속도 향상)

secure - 마운트 요청 시 포트를 1024 이하로 할당 허용 (기본값, 1024 이하 포트는 root만 설정 가능)

insecure - 마운트 요청 시 1024 포트 이상도 할당 허용

anonuid=<uid>

anongid=<gid>



설정 후

# systemctl restart nfs-server


재부팅 후에도 자동으로 실행되게끔
# systemctl enable nfs-server
도 해준다.


* 서버에서

# showmount -e 127.0.0.1

을 실행해보고,

clnt_create: RPC: Port mapper failure - Unable to receive: errno 111 (Connection refused)

에러가 나온다면,
# service rpcbind start
을 해주자.



클라이언트에서

$ showmount -e <Server IP>

로 서버의 exports 리스트를 확인할 수 있다.


테스트 마운트는

# mount -t nfs <Server IP>:<Server Path> <Client Path>

로 가능.


/etc/fstab 설정도 가능하다.

<Server IP>:<Server Path> <Client Path> nfs hard,intr 0 0


이때 옵션(예시에서 hard,intr)은 

19.4. Common NFS Mount Options

여기서 찾아보자.



참고

NFS 서버 구성 - http://blog.helperchoi.com/76

http://unix.stackexchange.com/questions/64915/nfs-connection-refused

http://www.unixmen.com/setting-nfs-server-client-centos-7/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