zigbee2mqtt 설치
(이전 글에 합쳐져있던 내용을 새 글로 분리)
zigbee2mqtt (이하 z2m) 은 mqtt 란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작동하는건데,
z2m은 mqtt 클라이언트로서 연결할 mqtt broker (서버라고 생각하면 됨)가 필요하다.
docker 로 mqtt broker 인 eclipse-mosquitto 와 z2m 둘 다 설치할거임.
설정 파일 경로는 이전글에 이어서 /home/pi/ha/ 폴더 안에 각 폴더를 만들고 지정해주었다.
z2m 실행시 필요한 --device 이름 역시 필요하다면 알아서 바꿔주자.
z2m 의 설정을 조금 변경해준다.
기본값으로 꺼져있는 homeassistant 를 켜주고, devices, group 을 관리하기 편하게 별도 파일로 만든다
zigbee 장비가 다 추가되고 나면 permit_join: false 로 바꿔주면 됨.
그 다음 HA의 설정도 변경, mqtt 항목을 추가해준다.
mqtt broker 를 추가하는거기 때문에 혹시나 eclipse-mosquitto 를 다른 장비나 다른 포트에서 작동시킬 경우 적당히 수정해주자.
둘 다 재시작
이제 HA의 통합 구성요소에 MQTT 가 나타나고 기기와 구성요소에도 z2m을 통해 연결된 장비가 나타단다.
deCONZ 로는 안 보였던 다원 스마트 플러그의 전력량도 잘 보이고, 다원 전등 스위치도 연결이 잘 됨.
실시간으로 올라오는 z2m의 로그를 보려면
이렇게 하면 됨. z2m을 재시작할 때마다 실행 시간으로 디렉토리가 생긴다.
tail 명령어로 열었는데, 지난 로그를 보고 싶으면 vim이나 nano 등으로 직접 열어봐도 됨.
'IoT' 카테고리의 다른 글
RPi를 이용한 CC2531 펌웨어 플래싱 (0) | 2020.08.13 |
---|---|
RPi HA에 deCONZ 설치하기 (ConBee II) (0) | 2020.08.13 |
RPi에 Home Assistant 설치하기 (+HomeBridge) (0) | 2020.08.11 |
도어락 제어하기 1탄 (하지만 2탄은 영원히 미정) (11) | 2017.11.12 |
IoT 전등 스위치를 직접 만들어보기 (아두이노, BLE, HomeKit) 3탄 (7) | 2017.08.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