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번 검색하기 귀찮아서 작성함

그냥 UNetbootin 을 사용하는것도 괜찮은 선택지인 것 같다.


디스크 목록 보기

$ diskutil list


디스크 추출

$ diskutil unmountDisk /dev/disk#


ISO -> IMG

$ hdiutil convert -format UDRW -o ~/path/to/output.img /path/to/input.iso

$ mv /path/to/output.img.dmg /path/to/output.img


Flashing image

$ sudo dd if=/path/to/output.img of=/dev/rdisk# bs=8m


압축된 이미지 Flashing

$ gunzip -c /path/to/image.gz | sudo dd of=/dev/rdisk# bs=8m



bs 는 한번에 작업할 block size. 1m 을 쓰라고 하는 곳도 있는데.. 뭐 상관없겠지


dd 작업 중간에 Ctrl+T 를 누르면 작업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

교내망에 있는 서버 하나가 접근이 꼬여서 원인을 찾다가 기록함.


우선 서버들의 네트워크 구성


메인서버 - Windows Server 2012 R2    - 교내망(10.x.x.5), 가상 스위치(192.168.137.1, host)

서버 A - Ubuntu 14.04                  - 교내망(10.x.x.6), 가상 스위치(192.168.137.6), 도커

서버 B - Ubuntu 14.04                  - 교내망(10.x.x.7), 가상 스위치(192.168.137.7)

서버 C - CentOS                            - 가상 스위치(192.168.137.2)


교내 다른 장비에서 메인서버, 서버 B 로는 교내망 주소로 바로 접근이 되는데,

서버 A 는 교내망 주소를 사용해도 서버 B 를 거쳐야만 접속이 되었다.

똑같은 교내망 IP 인데 말이지..


원인을 찾아보다가 서버 A의 outbound ip 가 메인서버의 ip 로 찍히는 것을 발견,

기본 라우터 설정을 바꿔주면 왠지 해결될 것 같은 느낌이 왔다.


서버 A:~$ ip route list

default via 192.168.137.1 dev eth1 

10.x.x.0/23 dev eth0  proto kernel  scope link  src 10.x.x.6 

172.17.0.0/16 dev docker0  proto kernel  scope link  src 172.17.0.1 

192.168.137.0/24 dev eth1  proto kernel  scope link  src 192.168.137.6

서버 B:~$ ip route list

default via 10.x.x.1 dev eth0 

10.x.x.0/23 dev eth0  proto kernel  scope link  src 10.x.x.7 

192.168.137.0/24 dev eth1  proto kernel  scope link  src 192.168.137.7 


이유는 모르겠지만 서버 A의 기본 라우터가 eth1 로 되어있다. 바꿔주자.


서버 A:~$ sudo ip route change to default dev eth0 via 10.x.x.1

서버 A:~$ ip route list

default via 10.x.x.1 dev eth0 

10.x.x.0/23 dev eth0  proto kernel  scope link  src 10.x.x.6 

172.17.0.0/16 dev docker0  proto kernel  scope link  src 172.17.0.1 

192.168.137.0/24 dev eth1  proto kernel  scope link  src 192.168.137.6



via 뒤의 아이피는 eth0 의 gateway 주소를 적어주면 된다.


이후 ssh 접속이 잘됨을 확인.

재부팅해도 유지된다.


왜 바뀌었는지 모르니 다음에 또 바뀔 가능성이 있을 수 있지만.... 일단 해결!

+ Recent posts